1. 전고체 전지(Solid-state battery) 소재/공정 기술과 기술향상을 통한 상용화 방안
- 전고체 전지(ASSBs)의 기술 전망과 ESS 및 EV 적용방안
- 황화물 고체전해질 및 이를 이용한 전고체전지의 가능성과 극복 과제
- 무기계 고체전해질 상용화 기술과 전고체 전지 적용방안
- 전고체 전지의 문제점(계면저항)과 고체전해질 및 코팅기술을 이용한 해결방안
- 고분자전해질(폴리머) 기반의 전고체 전지 개발을 위한 소재 및 공정기술
- 유기전해질을 이용한 플렉시블(flexible) 전고체 리튬전지 개발과 활용방안
- 전고체 전지 (ASSB) 및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FC)용 고체전해질의 전기전도도 향상기술
2. 차세대 이차전지 개발 현황과 ESS 안전성 확보 및 활용방안
(ESS안전성, 전고체전지, 레독스흐름, 리튬-공기전지 )
- ESS 해외 기술규제 및 실증현황과 재생 에너지를 위한 전지 시장의 변화와 정책방향
- ESS 배터리의 주요 화재 원인과 안전성 향상 방안
- 리튬이차전지의 열폭주 방지를 위한 전고체전지 기술 동향 및 상용화를 위한 주요 해결과제
- ESS 및 전기차 배터리 팩 개발과 최적의 BMS 설계 기술
- 전고체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 공정기술 및 상용화 방안
- ESS용 바나듐 레독스흐름전지 (VRFB) 개발과 상용화 현황
- 전기차 적용을 위한 고밀도 리튬금속-공기전지 (Li Metal- Air Battery) 개발 동향 및 전망
3. 전기차 및 ESS를 위한 차세대 중대형 배터리 개발기술과 상용화 방안
- 중대형 전지(전기차/ESS)를 위한 전해액, 첨가제 개발 및 적용방안
- 바나듐계 레독스 배터리 스택 및 소재 부품의 대면적화와 ESS 적용을 위한 상용화 방안
- 유기소재 기반 고용량 고안전성 리튬 전고체 전지와 최신 분리막 개발기술
- 전기차 및 ESS를 위한 전고체 전지 개발 동향과 경제성을 갖춘 배터리의 상용화 방안
- 리튬 금속계 음극의 덴드라이트 억제기술 동향과 리튬 금속계 음극을 사용하는 신전지 시스템의 상용화 방안
- 황화물계 전고체 전지의 효율 및 에너지 밀도 개선과 상용화 방안
- 전고체 전지의 도전재 개발 및 제조기술과 상용화 방안
- 탄소 도전재를 이용한 전고체전지의 계면저항과 문제 해결방안 -
4. 전문가 진단을 통한 ESS 산업 안정화 및 위기관리 솔루션 제공 방안
(ESS 안전성 강화 및 계통 안정화를 위한 지능형 전력망 구축)
♧ 국내 ESS 시장의 위기와 극복방안
- 국내 ESS시장의 현 상황은?
- ESS시장을 힘들게 만든 근본적인 원인 분석
-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제언
♧ 화재요인 분석과 시스템 개선을 위한 달라진 ESS 인증/표준 및 설치/운영방식
- ESS 화재사고 원인분석
- 사고원인별 개선방안
- 배터리시스템 안전설계 개선방안
- 설치 및 운용기준 개선방안
♧ 대용량 ESS 배터리 관리 기술과 전력망 활용방안
- 배터리 관리 장치(BMS)의 개요 및 필요성
- 배터리 관리 장치(BMS)의 향후 기술 전망
- 대용량 ESS 전력망 활용 방안
♧ Data-driven 기반 배터리 상태추정 기술 및 배터리 이상진단에의 응용
- ESS의 발화사고 종류 및 원인에 대한 정리
- 배터리 열화메커니즘 소개 및 상태추정의 필요성
- Data-driven 기반 상태추정 기법 소개 및 응용을 통한 배터리 이상진단 기술
♧ 효율적 마이크로그리드를 위한 태양광 등의 에너지 프로슈머와 이웃간 전력거래 및 국민DR 활성화 방안
- 에너지 프로슈머의 전력거래
- 소규모 고객 참여형 수요관리 방향
♧ H-ESS(Hydrogen-ESS)를 이용한 분산발전 및 수소 에너지 안전기술
- 분산발전으로서의 H-ESS(Hydrogen-ESS) 정의
- H-ESS 및 수소에너지의 안전 기준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77 서울숲IT밸리 1313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