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시스템 반도체 기술개발과 시장 창출을 위한 산업 분야별 육성전략
- 시스템 반도체 시장의 전망과 현 기업 및 중소/벤처업체의 시장 진입전략
(AI/자동차/전력반도체, AP/CPU/통신용 칩)
-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기술과 산업별 적용방
- 자율주행차 비전용 SoC 핵심 기술과 업체별 개발 방향
- 사물인터넷(IoT)용 반도체 개발기술과 산업 적용방안
- 차세대 고에너지갭 전력반도체(파워반도체) 디바이스 기술과 산업 적용
- 영상인식을 위한 이미지센서 개발과 산업별 적용방안
(자율차, 스마트 디바이스, 의료)
- 신약개발 및 질병원인 규명을 위한 '생체 세포모사 반도체' 기술
(초고속 생화학 반응 시뮬레이션 칩)
2. 고감도/고해상도 영상인식을 위한 이미지 센서 및 최신 광학 기술 적용방안
- 차세대 이미지 센서 개발과 영상인식 융합 기술
(카메라 신호처리 및 광학 요소 기술)
- 자율주행 카메라를 위한 이미지센서용 ISP 기술개발동향
- 차세대 3차원 센싱 카메라를 통한 이미지 인식기술과 회절 광학 소자(DOE) 설계 및 제작기술
- 유기 재료를 이용한 컬러필터 프리 이미지 센서 기술 개발
- ToF(Time-of-Flight) 이미지센서 양산기술과 적용방안
- 차세대 CMOS 이미지 센서 최신 개발기술과 산업별 적용방안
(자율주행차, 스마트폰, VR, 드론, CCTV, 의료)
- 나노 반도체 기반의 이미지센서 및 고해상도 광이미지센서 개발기술
3. [Intensive Course] 고감도 초박형 이미지센서 개발기술
♧ 광학기초 및 ToF(Time-of-Flight) 이미지센서
1) 카메라의 이해
- 광학카메라의 구조
- TOF 카메라의 이해 : 레이저 TOF 거리계, 센서
2) 카메라 주요 기술
- 이미지 센서
- TOF 카메라 모듈의 각 부품별 구성
3) TOF 카메라 기술 및 응용
- 이미지 센서 및 TOF 센서
- 광원 VCSEL (Vertical Cavity Surface Emitting Lasers)
- TOF 카메라 Align 및 Calibration
- Lens 및 코팅
- IR Filter 및 코팅
♧ 이미지센서 소자 및 소재
1) 이미지 센서 개요
- 이미지 센서 시장 동향
- 이미지 센서 소자 기초
2) CMOS 이미지 센서
3) 적외선 이미지 센서 및 소재
4) Hyperspectral 이미지센서
5) 나노 소재 기반 이미지 센서
♧ 이미지센서 ISP(Image Signal Processing)와 영상처리 알고리즘
1) ISP 개요
- Camera module trend
- Characterization of image sensors and cameras
2) Bayer 센서를 위한 신호처리
- Color data representation in ITU-R standards
- Full color restoration in ISP
3) 색재현성 향상을 위한 신호처리
- CIE standards for color qualification
- Color representation in ITU-R standards
- Automatic color adaptation for human visual system
4) 센서/카메라 왜곡 제거 및 감성향상을 위한 신호처리
- Algorithms for reducing sensor/lens defects
- Noise reduction algorithms
5) 감지범위(dynamic range)의 확장
- HDR image acquisition and representation
- WDR image acquisition; a real-time HDR
- RGB-IR imaging
♧ 생체모사 이미지센서 시스템 설계 및 제작 : 칩/모듈, 렌즈
( N/MEMS 기반의 초박형 카메라 및 광학소자 개발과 응용 )
- 다양한 곤충눈의 구조 및 미세광학구조
- 무반사나노구조를 갖는 마이크로렌즈 및 가변초점렌즈
- 초박형 곤충눈 카메라의 제작과 응용
- 3차원 영상 및 다분광 영상용 초박형 카메라
- 반딧불이의 발광기관의 구조 및 미세광학구조
- 초소형 레이저스캐닝 초소형 현미경
- 의료내시경 분야 응용 및 기술사업화
(IoT, 스마트홈/가전, 자동차, 시스템반도체, MEMS, 친환경, 의료/헬스케어)
- AI 기반 IoT센서와 Trillion Sensor의 전망과 산업 확대방안
- 스마트홈/가전/소비용 센서 전망과 산업 확대 적용방안
- 자동차용 첨단센서 전망과 산업 확대 적용방안
- 시스템반도체(인공지능반도체/이미지센서)의 개발과 센서 산업별 확대 적용방안
- 친환경(도시/빌딩/가정) 센서 전망과 산업별 확대 적용방안
- 대기환경/유해가스/중금속-
- MEMS 기반의 센서 소재 및 혁신공정 개발과 산업별 확대 적용방안
- 의료/헬스케어/체외진단(현장진단)용 고감도 바이오센서/칩 개발과 산업별 확대 적용방안
5.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전자피부(E-skin)를 위한 유연센서(전극)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 유연 정밀 금속 복합체 개발 및 3D 프린팅 적용방안
- 유연소재 기반의 마이크로/나노 소자 개발과 바이오센서 및 신경전극 적용기술
- 섬유 기반의 웨어러블 소재 및 소자 개발과 적용방안
- 나노복합소재 기반 유연 압력-변형(Strain) 복합 센서 개발 및 적용 기술
- 뇌질환 치료를 위한 그래핀 기반의 전자피부 개발과 적용방안
- 뇌파측정과 치료자극 -
- 균일한 성능의 인공 피부 제작을 위한 촉각센서 개발과 상용화방안
- ICT 융합 웨어러블 인터렉티브 센서 시스템 개발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특별시 성동구 성수일로 77 서울숲IT밸리 1313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