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집 제목을 선택하시면 해당 자료집의 단행본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탄소중립기본법, NDC, 탄소국경조정제, 에너지 전환정책, SBTi/자발적 탄소 상쇄제도, CCUS)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에너지 산업의 전환과 시장의 개선방향
- 2050 탄소 중립 이행을 위한 온실가스 감축목표 (NDC)달성과 탄소중립기본법의 시행 방안
-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의 내용과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 2050 탄소중립 산업별 정책 방향과 2030 NDC 목표
- 탄소중립 관련 탄소중립 적합성평가 체계와 검인증
- 탄소중립을 위한 CCUS(탄소 포획/저장/이용)의 역할과 개발기술
- 기업의 자발적 탄소중립목표 수립과 자발적 탄소 상쇄제도
2. 에너지 전환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업의 대응전략
- 2030년 NDC 및 탄소세가 에너지 및 전력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대응방안
- 배출권 거래제(ETS)와 기업의 대응 방안
- 온실가스 감축목표(NDC) 달성과 탄소중립기본법의 시행 방안
- 탄소중립을 위한 전력시장 제도개선 방향
- 탄소중립을 위한 CCUS(탄소포집/저장/활용) 기술의 현황 및 전망
- 한국형 RE100의 이해와 기업의 대응방안
- 재생에너지 직접구매제도(PPA) 시행과 기업의 참여방안
(분산에너지 확대에 따른 에너지 산업의 변화와 기업의 대응방안)
- 2024년 적용될 전력시장 제도/구조의 개선과 시장의 변화
- 분산에너지 편익 창출과 다양한 신규 분산형 전원 확산을 위한 배출권거래제 및 전력시장 제도 개선방안
-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주요 내용과 사업 적용방안
- 분산에너지 활성화 특별법 시행에 따른 통합발전소(VPP) 도입 및 시장 활성화 방안
- 분산 자원의 안정적 계통연계 시스템 확대방안
- 분산형 발전시스템 확대로 인한 에너지 수요관리 신사업 모델 창출 방안과 확대 전략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 중랑구 신내역로 111 신내SKV1 1211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