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집 제목을 선택하시면 해당 자료집의 단행본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1. 고안전 고효율 전기차 개발을 위한 전고체 리튬금속 배터리 개발 기술
(리튬금속배터리의 전기화학적 현상에 따른 해결방안과 소재 개발 기술)
- 전기차 배터리의 개발 한계성 진단 및 개발 방향
- 리튬금속배터리 개발동향과 초박막 인조보호막 양산기술
- 리튬이온전지의 흑연/실리콘 음극재 특성과 리튬금속 음극재와의 성능 비교
- 고안전 고성능 유무기 하이브리드 전해질 소재 개발 기술
- 음극재 없는 리튬전지의 구동을 위한 차세대 리튬 전지 음극 설계기술
- 고안전성/고출력 차세대 이차전지 전극 표면개질 최적화 기술
- 리튬금속배터리의 반응성 분석과 고체 고분자 전해질 소재 적용방안
(나트륨 이온, 하이니켈, 리튬황, 리튬금속, 리튬인산철, 리튬공기 배터리)
- [차세대 전지 및 K-배터리 개발 현황] 차세대 전지 개발 현황과 K-배터리 개발과 경쟁력 확보 방안
- [리튬 황] 고성능 고밀도 에너지 리튬-황 전지 개발과 상용화 방안
- [하이 니켈] 하이니켈 양극재 상용화 기술과 폐배터리 리사이클링을 통한 니켈과 코발트 원료 공급방안
- [리튬공기] 고성능 고용량 리튬공기전지 기술 현황과 상용화 방안
- [전고체 리튬금속] 전고체전지 음극. 고에너지 전고체전지를 위한 음극 전극 기술
- [나트륨 이온] 나트륨 이온 배터리의 고성능 고용량화 기술과 상용화 방안
- [리튬인산철 - LFP] LFP(리튬인산철 계열) 배터리 개발과 상용화 방안
3.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확보와 성능 향상을 위한 대응기술
(배터리 화재(열폭주) 예방과 성능 향상을 위한 열관리 및 소재 적용방안)
- 전기차 배터리 안전기준 현황과 평가 및 인증
- AI 기반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이용한 리튬이온배터리 BMS 기술과 산업 적용방안
- 급속 충전·고출력에 대응하는 배터리 팩의 열관리 기술과 소재 개발
- 전기차 배터리 화재 예측 및 수명/발열 분석 기술
- 전기차 배터리 안전설계 및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
- 폭발 위험 적은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해결과제
- 전기차용 경량 배터리 하우징을 위한 고기능 복합소재(PA) 적용방안
4. 리튬 이차전지 저가화를 위한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이슈
(IRA 대응 및 K-배터리 경쟁력 향상을 위한 이차전지 저가화 생산 방안)
- Advanced Battery의 과거와 미래
- 리튬이차전지용 고에너지 밀도 전극 설계 및 후막 전극 제조 기술
- Na-ion 전지 개발과 상용화 방안
- 고용량 실리콘/탄소 복합 음극재 및 SiOx 기반 리튬이온 이차전지 음극재 개발과 상용화 방안
- LFP(리튬인산철 계열) 배터리 개발과 상용화 방안
- 차세대 고용량 양극재 소재 개발 및 신공정 기술
5. 전기차 배터리 산업 전망과 안정성 확보 기술 (화재(열폭주) 분석과 배터리 진단 및 성능평가)
(전기차 배터리 산업 전망과 안정성 확보 기술 컨퍼런스)
- 전기차 화재 원인 및 배터리, 인프라와의 상관관계 분석과 원천적 화재 소화 기술 개발 방향
- E-모빌리티 충전 생태계와 에너지 플랫폼 비즈니스 모델
- 사용후 배터리 잔존가치 및 안전성 평가 기준에 따른 BaaS 시스템 구축과 서비스 확대 방안
- 전기차 배터리 상태의 단계별 검사 진단 기술과 적용 사례
- AI를 활용한 X-Ray 기반 배터리 검사장비 개발 기술
- 배터리 화재 예측을 위한 배터리 셀 및 팩 시뮬레이션 적용 기술
6. 전기차 배터리 산업 전망과 안정성 확보 기술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배터리 소재 및 시스템 개발)
(전기차 배터리 산업 전망과 안정성 확보 기술 컨퍼런스)
- 전기차(EV) 안전성 평가 및 통합 안전 관리 기술개발
- 배터리 관리 시스템 (BMS)
- 화재 대비 전기차 배터리 개발 동향과 전해액 첨가제 소재 개발 이슈
- 하이브리드 고체전해질을 이용한 나트륨 전지 개발과 상용화
- 전기차용 비발화성 수계 배터리 개발과 상용화 방안
- 파우치형 리튬이온전지의 제조 기술 동향과 열폭주 전이 방지 기술
(배터리 소재/안전성, 성능평가, 사용후 배터리 화재분석/원료/공정/상용화)
- Advanced Batteries
- 리튬이온배터리 안전성 이슈와 전고체전지 소재 기술
- 배터리 안전을 위한 전주기 진단 및 관리 기술
- 배터리 성능(상태, 잔존가치) 진단 기술
- 사용후 배터리/ESS 화재요인 분석 및 시험인증
- 사용후 배터리 처리 비용 절감을 위한 재활용 최신공정
- 사용 후 배터리 처리비용 및 탄소발생 저감을 위한 셀/전극 재제조 기술
-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 부품 평가 및 새활용(타용도 적용) 사업 소개
8. 리튬이차전지(배터리/ESS) 열폭주 방지 및 화재 진압(소화) 기술
(화재 원인분석/진압, 화재 예측, 화재 감지/차단/진압(소화) 기술)
- ESS,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사고 원인과 사례분석을 통한 화재 진압 기술
- BMS(배터리관리시스템)을 통한 배터리 상태 및 화재 예측 기술
- 리튬이온배터리 화재 대응 사례와 화재 안전성 평가 기준 및 시험.인증
- LIB ESS 화재/폭발 사고의 이해와 국제적 예방 및 대응 표준/지침 소개
- 침윤제(수계) 기반의 친환경 소화약제 및 가압식 소화 시스템 개발기술
- 리튬이온 및 리튬금속 배터리 화재진압 시스템 개발과 적용 방안
- 전기차 화재 대응(진압) 방법 및 진압 성공사례
9.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의 변화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미국/중국/EU의 배터리 관련 국제규제와 국내 기업의 대응전략)
- EU 핵심원자재법(CRMA) 및 탄소중립산업법(NZIA) 주요 내용과 기업의 대응방안
- 중국 배터리 시장의 공급망 강화 전략과 국내 기업에 미치는 시사점
- 미국 IRA(인플레이션 감축법)의 주요 내용과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 국내.외 배터리 안전성 검사 및 평가방안
- 주요국(유럽, 미국, 중국)의 사용후 배터리 산업 지원정책
- 국내.외 배터리 원재료 서플라이 체인과 국내기업의 대응방안
10. 고효율 저비용 리튬전지
(Advanced Battery 최신 공정 및 소재 개발 기술)
- 실리콘 음극재 사용을 위한 에너지 밀도 제어 및 구조분석 기술
- 리튬이온전지 고속 충전 및 저온 구동을 개선할 전해질 소재 개발
- 리튬-황(Lithium-Sulfur) 전지 개발과 상용화 방안
- 고성능 양극재 개발 및 전구체 대량 생산 기술
- 전고체전지 실증셀 설계 기술 및 공정기술 개발 동향
- 초박막 리튬 금속 음극 제조와 계면 안정화 방안
11. 미래형 차세대 전지
(Advanced Battery 최신 공정 및 소재 개발 기술)
- 폭발 위험 적은 차세대 배터리 소재 개발과 상용화를 위한 해결과제
- 차세대 알칼리 (Li/Na/K) 금속 전지용 전해질 및 계면 제어 연구
- 화재 위험 없는 수계아연전지 개발 및 핵심 음극 소재 제조 기술
- 고성능 양극재 개발 및 전구체 대량 생산 기술
- 전고체전지 실증셀 설계 기술 및 공정기술 개발 동향
- 초박막 리튬 금속 음극 제조와 계면 안정화 방안
12. 전기차/ESS 화재 원인 분석과 예방 및 진압(소화) 개발 기술
(화재 원인 분석과 예방 솔루션 및 소화약제 개발사례)
- 전기차 화재 주요 발화 원인 분석
- 전기차 화재시 상황 별 진압 방안
- 리튬이온배터리 ESS와 전기차 충전설비 국내외 안전기준 동향
- ESS 화재 원인 분석과 사전 검출 기술 개발 사례
- 전기차 충전설비 화재 예방을 위한 안전 기준 및 예방 솔루션 개발 사례
- 침윤제(수계) 기반의 친환경 소화약제와 냉각소화형 축압식 소화 시스템 개발 사례
13. 전기차 배터리/ESS 안전성 확보 기술
(안전성 기준/평가, 열관리 소재 및 센서, 진단/검사 솔루션과 장비)
- 전기차 배터리/ESS 안전성 시험 평가 기준 및 화재 안전성 검증 시험
- 배터리 제조 수율 향상을 위한 고속 2D 및 정밀 3D 비접촉, 비파괴 결함 진단 기술
- 전기차 배터리용 실리콘 고방열 패드 국산화 기술과 적용
- AI를 활용한 X-ray 기반 고속 배터리 불량 검사장비 개발기술
- BMS 개발을 위한 안전분석 및 모델기반 소프트웨어 설계 및 검증
- 배터리 상태 추정 및 예측을 위한 BMS 알고리즘 개발과 진단 기술
- 열폭주 방지용 'Off gas' 조기 검출 기술과 화재 예방 솔루션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 중랑구 신내역로 111 신내SKV1 1211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