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집 제목을 선택하시면 해당 자료집의 단행본 페이지로 이동 합니다.
1. 수소 모빌리티 분야별 산업 전망과 시장 우위 선점 전략
(수소차, 선박, 트램, 드론/UAM, 액화수소, 마이크로 모빌리티 및 소형 수전해 충전소)
- 소형 융복합 수소 모빌리티(수소트램, 지게차 등) 충전소 구축 및 운영방안
- 수소연료전지 자동차 및 상용차 국내.외 부품/소재 개발현황과 상용화 방안
- 수소 연료전지 기반 선박 운송선 기술 개발 동향 및 활성화 전략
- 소형 수소 액화기 개발 및 액화수소 저장용기 부품/소재 개발 동향
- 수소 드론 및 도심항공교통(UAM) 시장의 확대 및 시장 선점 방안
- 수소 마이크로 모빌리티 개발과 소형 수전해 인프라 구축방안
- 모빌리티용 액화수소 저장탱크 기술 및 활용
2. 전기차 유무선 충전 인프라 최신 기술과 사업 다각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안
(2023년 CES 트렌드와 달라진 제도를 통해 본 전기차 충전 시장의 발전 현황)
- 2023년 전기차 충전 인프라의 달라진 설치제도 및 관련 정책과 민간주도형 사업 추진방안
- 가속중인 모빌리티 변화 속 EV충전시스템 혁신과 비지니스 모델
- 충전 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통한 사업 다각화와 통합 충전서비스 제공방안
- 최신 무선충전 전기자동차의 주파수 할당 내용과 EMI/EMC 동향
- 2023년 CES 발표 전기차 충전 개발 이슈와 전기차 분산 충전 제어시스템(CSMS) 기반의 충전인프라 개발기술
- 전기차 무선충전을 위한 FOD, P2PS 기술과 상용차 적용방안
- 전기차 무선충전 국내.외 개발 사례 및 상용화 방안
3.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민간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서비스 운영 및 기반 기술
(정부지원, 기체/배터리, 인.허가 인증, 인프라/버티포트, 통신, 서비스)
- [정부 지원 및 법.제도] UAM 산업화를 위한 정부 지원과 운영방안(Grand Challenge)
- [기체 및 배터리 개발] UAM 기체 및 배터리 개발이슈와 안전성 인증방안
- [인.허가 및 인증] UAM/UAS 비행 안전성 확보를 위한 인증 정책 및 기술기준 개발
- [글로벌 트렌드 및 규제] 21세기 글로벌 메가트렌드와 도심항공모빌리티
- [민간 버트포트/인프라 운영] 미국과 유럽연합의 버티포트 설계기준
- [통신, 네트워크] UAM 통신 및 자율주행 교차로(경로) 설계 방안
- [서비스 제공] 국내.외 UAM 시장 구축 및 서비스 제공 추진방안
4. 미래 모빌리티 개발을 위한 고기능성 소재/부품 및 제조공정 개발 기술
(경량화/차폐 복합소재, 내장재, 기능성 플라스틱, 열관리(히트펌프), 파워트레인, 반도체/차폐설계)
- 미래 모빌리티를 위한 자동차 내장재 및 기능성 나노소재 적용기술
- 미래 모빌리티(전기차)의 통합 열관리 필요성과 효율 개선 방안
- 미래차를 위한 AI반도체 개발과 전장부품의 전자파 영향 및 전장제품 설계 기술
- 미래형 모빌리티 경량화를 위한 복합소재 개발과 적용방안
- 기능성/구조용 복합재료 개발과 미래형 자동차 적용방안
- 전기차 파워트레인 부품, 소재 개발기술과 상용화 방안
- 미래 모빌리티 전장부품을 위한 기능성 플라스틱 개발과 적용방안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 중랑구 신내역로 111 신내SKV1 1211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