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탄소중립기본법의 시행과 기업의 대응방안
2. 에너지 전환 및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기업의 대응전략
3. 전력시장의 변화와 에너지 신사업 모델 창출방안
◈ 친환경 미래차(전기차/수소차/UAM) 소재/부품 및 인프라 (총4권)
1. 수소 모빌리티 분야별 산업 전망과 시장 우위 선점 전략
2. 미래 모빌리티 개발을 위한 고기능성 소재/부품 및 제조공정 개발 기술
3. 전기차 유무선 충전 인프라 최신 기술과 사업 다각화를 통한 서비스 제공 방안
4.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민간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서비스 운영 및 기반 기술
◈ 차세대 이차전지 (전기차 배터리 및 ESS) (총13권)
1. 고안전 고효율 전기차 개발을 위한 전고체 리튬금속 배터리 개발 기술
2. 차세대 전지 개발 이슈와 혁신 기술 상용화 방안
3. 전기차 배터리 안전성 확보와 성능 향상을 위한 대응기술
4. 리튬 이차전지 저가화를 위한 소재 및 공정 기술 개발 이슈
5. 전기차 배터리 산업 전망과 안정성 확보 기술 - 화재(열폭주) 분석과 배터리 진단 및 성능평가
6. 전기차 배터리 산업 전망과 안정성 확보 기술 -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배터리 소재 및 시스템 개발
7. 전기차 배터리 혁신 기술
8. 리튬이차전지(배터리/ESS) 열폭주 방지 및 화재 진압(소화) 기술
9. 글로벌 전기차(배터리) 시장의 변화와 국내 산업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
10. Advanced Battery 최신 공정 및 소재 개발 기술 - Day 1: 고효율 저비용 리튬전지
11. Advanced Battery 최신 공정 및 소재 개발 기술 - Day 2: 미래형 차세대 전지
12. 전기차/ESS 화재 원인 분석과 예방 및 진압(소화) 개발 기술
13. 전기차 배터리/ESS 안전성 확보 기술
1. 수소 레볼루션 컨퍼런스 - 그린암모니아 전주기 분야
2. 수소 레볼루션 컨퍼런스 - 수소 활용 신사업(모빌리티/융.복합충전소/연료전지) 분야
3. '‘청정수소의 핵심" 수전해 수소생산 기술과 부품/소재 국산화 방안
4. SMR 및 그린수소 생산 기술 개발과 민간시장 도입 확대방안
5. 청정수소 확대를 위한 민간 시장 지원 방안과 주요 기반 기술 개발 동향
6. 고성능 수전해 저가화 생산 기술과 상용화 방안
7. 액화수소 vs 암모니아. 차세대 수소 저장, 운송 기술 개발현황과 밸류체인
1. 탄소자원화(CCU)를 통한 고부가가치 화합물 생산과 상용화 방안
2. 폐자원의 화학적 리사이클링 기술과 원료 및 제품 생산 방안
3. 친환경 플라스틱 산업 컨퍼런스 - 폐플라스틱 자원화 (리사이클링, 열분해/촉매/가스화)
4. 자원 재순환(리사이클링)을 통한 유가/희소 금속 회수 및 공급 안정화 방안
5. 고부가가치 폐플라스틱 자원화 기술과 산업 적용방안
1. 전기차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재제조/재활용 기술 개발과 민간사업 확대 방안
2.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전망 컨퍼런스 - 폐배터리 리사이클링(recycling) 처리 및 활용
3.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산업 전망 컨퍼런스 - 폐배터리 재사용(reuse)/재제조를 위한 진단 및 활용
1. 메타버스 개발을 위한 기반 기술과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확대 방안
2. XR(AR, VR) 기반의 실감형 메타버스 구현 기술
3. 실감 메타버스 구현을 위한 디지털 트윈 및 XR(가상융합) 기술 적용 방안
4. 생성형 AI 기반의 메타버스 개발과 적용방안
1. 초거대(Hyperscale) AI와 최신 인공지능 개발이슈
2. 초거대 AI 핵심기술 이슈와 상용화를 위한 고도화 전략
1. 친환경 플라스틱 산업 컨퍼런스 - 폐플라스틱 자원화 (리사이클링, 열분해/촉매/가스화)
2. 친환경 플라스틱 산업 컨퍼런스 - 화이트바이오 산업 (생분해성 바이오플라스틱)
3.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 신소재 개발과 상용화 방안
4.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패키징 최신 소재 개발과 글로벌 상품화 방안 - Day1: 친환경 패키징 소재 기술
5. 친환경 바이오 플라스틱/패키징 최신 소재 개발과 글로벌 상품화 방안 - Day2: 바이오(생분해) 플라스틱 원료 및 소재 기술
1. 완전 자율주행을 위한 C-V2X 및 카메라/센서 기반의 시스템 개발과 상용화 방안
2. 자율협력주행을 위한 커넥티드 시스템 개발 및 교통 인프라 정보 제공방안
1. 디지털 트윈 산업 전망 컨퍼런스 - 디지털 트윈 개발을 위한 적용기술과 산업별 활용방안
2. 디지털 트윈 산업 전망 컨퍼런스 - 3차원 공간정보 구축을 위한 디지털 트윈 구현 기술
3. 디지털 트윈 산업 전망과 활용 방안
1. [INTENSIVE COURSE] STEP1. 전기차 BMS 전문가 과정
2. [INTENSIVE COURSE] STEP2. 전기차 BMS 전문가 과정
3. [INTENSIVE COURSE] STEP3. 전기차 BMS 전문가 과정
◈ 글로벌 제약 & 바이오 산업 전망 컨퍼런스 - 혁신신약, 바이오시밀러, 마이크로바이옴, 세포/유전자, 백신/감염병 치료제, GMP, QbD
사용후기가 없습니다.
상품문의가 없습니다.
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강남-01274호
주소 : 서울 중랑구 신내역로 111 신내SKV1 1211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