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5G 기반의 AI 로봇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분야별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 방안" 성료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20-05-15 조회2,157회본문
지난 14일(목), "5G 기반의 AI 로봇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과 분야별 서비스 로봇의 상용화 방안" 성료되어 알려드립니다.
우리 정부는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 달성을 위해 제조로봇 산업과 수요산업 동반성장, 4대(돌봄, 의료, 물류, 웨어러블)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정책과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4대 서비스로봇 분야에 총 3000억원 규모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고 2023년까지 연매출 1000억원 이상 로봇전문기업 20개를 육성하고 로봇 산업을 연간 15조원 규모로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러한 시점에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5G이동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가전, 모바일, 로봇과 같은 진화한 제품과 서비스의 활용이 미래 비전으로 주목 받고 있는 가운데 AI 로봇 분야도 외부환경 인식, 상황 등을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로봇이 등장하여 기존의 제조업 뿐만 아니라 의료, 법률 등의 전문 서비스업 까지도 그 응용영역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에 "제조현장과 우리 생활전반에 AI, IoT,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로봇산업이 융합될 수 있도록 새로운 서비스 제품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글로벌 선도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로봇기업, 전문가, 유관기관 및 정부 등의 합심된 노력이 필요해 이번 세미나의 개최 의의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본 세미나는 3월 13일(금)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하면서 연기를 해왔었습니다.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정부의 "생활속 거리 두기"의 방역 지침을 지키며 본 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안전하고 유익한 세미나로 잘 마무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우리 정부는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 달성을 위해 제조로봇 산업과 수요산업 동반성장, 4대(돌봄, 의료, 물류, 웨어러블)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정책과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하였으며, 이를 위해 4대 서비스로봇 분야에 총 3000억원 규모 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할 예정이고 2023년까지 연매출 1000억원 이상 로봇전문기업 20개를 육성하고 로봇 산업을 연간 15조원 규모로 확대하기로 하였습니다.
이러한 시점에 글로벌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인공지능(AI)과 사물인터넷(IoT), 5G이동통신 기술을 중심으로 가전, 모바일, 로봇과 같은 진화한 제품과 서비스의 활용이 미래 비전으로 주목 받고 있는 가운데 AI 로봇 분야도 외부환경 인식, 상황 등을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로봇이 등장하여 기존의 제조업 뿐만 아니라 의료, 법률 등의 전문 서비스업 까지도 그 응용영역이 확장되면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이에 "제조현장과 우리 생활전반에 AI, IoT,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로봇산업이 융합될 수 있도록 새로운 서비스 제품개발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가고 글로벌 선도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서는 로봇기업, 전문가, 유관기관 및 정부 등의 합심된 노력이 필요해 이번 세미나의 개최 의의는 높다고 할 수 있습니다.
본 세미나는 3월 13일(금) 개최 예정이었으나,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사회적 거리두기"에 동참하면서 연기를 해왔었습니다.
이후, "사회적 거리두기"가 완화되면서 정부의 "생활속 거리 두기"의 방역 지침을 지키며 본 세미나를 개최하였으며 안전하고 유익한 세미나로 잘 마무리하였음을 알려드립니다.
상단 비쥬얼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