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고부가가치 의료 4차산업을 위한 바이오 3D프린팅 최신 개발기술과 적용방안" 세미나 성료 안내 > 소식알림

모바일

링크

[공지] "고부가가치 의료 4차산업을 위한 바이오 3D프린팅 최신 개발기술과 적용방안" 세미나 성료 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18-04-16 조회4,061회

본문

지난주, 개최된 "고부가가치 의료 4차산업을 위한 바이오 3D프린팅 최신 개발기술과 적용방안" 세미나가 성료되어 안내를 드립니다.

3D프린팅 기술은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제조업 혁신과 신시장을 창출할 핵심기술로 대두되고 있는 가운데, 이를 가장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는 분야는 바이오 및 의료 분야로써 이미 뼈, 치과 보철, 인공장기 및 인공피부 등 인공보형물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 맞춤형 의료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고, 기존에 비해 납기 단축과 자원낭비 방지가 가능하며 오픈 소스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설계 파일을 공유하고 확산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주목을 받고 있으며,  최근 들어서는 3차원 형상제작 기술과 전자기술 등을 조합하여 자가 변형이 가능한 생체조직부터 인체에 삽입하는 바이오장기를 생산하는 4D 프린팅 단계로도 기술이 진화되고 있습니다.
시장 조사기관 BIS Research Analysis는 전 세계 바이오 3D프린팅 시장규모는 2015년 2,897만 불에서 2022년 2억 불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하며, 이 기간 중 바이오 3D프린팅용 기기의 판매대수는 연평균 32.8% 증가해 2022년에는 1만 7,928대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또한, 시장분석업체 Gartner는 올해 이후부터는 3D프린팅 기술로 인해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연간 1,000억 불의 지적재산권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는 가운데, 바이오 3D 프린팅의 효용가치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확대되고 있습니다.

현재, 바이오 3D프린팅 시장에 진출하기 위한 막대한 R&D 투자 및 초기 설치비용이 높고 의료 관련 구성 요소에 대한 인증비용이 적지 않다는 점은 스타트업이나 신규 기업의 시장진입을 막는 장벽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밀의료와 맞춤형 치료의 확산이라는 가치 트렌드로 인하여 개인과 기업, 사회와 경제 전 분야에 걸쳐 큰 영향을 줄 수 있는  산업기술임은 명백한 현실입니다.

이에 본 세미나는  다각적 사업확장을 꾀할 수 있는 기회로 삼고, 향후 이 분야 기술의 정확성을 더욱 높이고,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과 기술적/사업적 노하우 를 공유할 수 있었던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상단 비쥬얼 이미지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중랑-0870호
주소 : 서울 중랑구 신내역로 111 신내SKV1 1211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 긴급문의 (24H) : (카카오톡채널)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검색 후 문의

KB 에스크로 이체 로고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