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민간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서비스 운영 및 기반 기술" 세미나 성료안내 > 소식알림

모바일

링크

[공지]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민간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서비스 운영 및 기반 기술" 세미나 성료안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23-05-30 조회479회

본문

지난 25일(목), "UAM(도심항공모빌리티) 민간시장 확대를 위한 인프라/서비스 운영 및 기반 기술" 세미나가 성료되어 안내를 드립니다.

최근 도시화로 인한 교통혼잡 및 탄소배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친환경 미래 교통수단으로써 UAM(도심항공모빌리티)이 부상하고 있습니다. UAM은 도심 내에서 eVTOL(전기추진 수직이착륙기) 등의 비행체를 활용해 승객 및 화물을 운송하는 친환경 3차원 교통수단으로, 지상으로 집중된 교통 체계 혼잡을 해결할 수 있고, 별도 활주로가 필요 없는 수직이착륙 항공으로 공간 확보에도 용이하며, 전기 동력을 사용해 탄소 배출 없이 저소음으로 도심에서 운항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미국, EU 등 UAM 선도국은 자국 산업육성 및 시장 선점을 위한 기반을 조성 중이며, 우리 정부도 2025년 상용화 개시를 목표로 UAM 로드맵 구성, 기체개발 전략 수립, 민관협의체 구성 및 대규모 R&D를 통한 통합 실증, 관련 법안 발의 등 전방위적인 산업역량 강화를 지원 중이며 민간에서도 정부의 산업육성 의지와 더불어 기체, 운항, 버티포트, 교통관리, 모빌리티서비스 등 각 영역에 특화된 기업들이 컨소시엄 구성을 통해 생태계 공략을 준비 중입니다.

국토부는 세계 UAM 시장 규모가 2025년 13조 원에서 2040년 741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으며, 미국 투자은행 모건스탠리에 따르면 전 세계 UAM 시장 규모는 2040년 1조 4,740억 달러(약 2100조 원)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또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KAIA)과 한국연구재단(NRF)의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 UAM 시장은 2025년 2.1억 달러에서 연평균 25.8% 이상 성장해 2040년 109억 달러 규모에 이를 전망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스타트업 위주였던 UAM 시장에 항공, 자동차, IT 등 관련 분야의 주요 기업이 진출해 생태계 선점을 위한 업무협약, 공동 기술개발, 지분투자 등 전략적 제휴를 추진 중이며 이를 통하여 UAM은 기체 개발 및 서비스뿐만 아니라 주변 인프라 구축, 인력 관리, 운송, 플랫폼 등 다양한 산업 분야가 유기적으로 연결된 거대한 생태계를 구축하게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는 가운데 본 행사를 통해 정부의 지원방안과 UAM 분야별 기술 개발 방향을  각계의 전문가들을 통해 짚어볼 수 있었던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상단 비쥬얼 이미지

상호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대표 : 박희정|사업자번호 113-19-06409|통신판매업신고 : 서울중랑-0870호
주소 : 서울 중랑구 신내역로 111 신내SKV1 1211호|TEL : 02-545-4020|FAX : 02-6008-9134
Email : kecft@kecft.or.kr | 긴급문의 (24H) : (카카오톡채널)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검색 후 문의

KB 에스크로 이체 로고

Copyright ⓒ 한국미래기술교육연구원 Corp. All Right Reserved.

상단으로